IT_Report
[IT Scarp] 프로젝트의 문서는 왜 만들까?
SuperDev
2025. 3. 14. 12:49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문서 작성은 필수로 해왔지만, 어떻게 작성하는게 좋은가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래 링크된 요즘IT의 글을 읽으면서 문서화 메뉴얼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글을 보면서 들었던 생각은 개발문서를 작성할 때, 그림이나 도식화하는 등의 방법론도 물론 중요하지만, 문서의 주요 목적인 "소통"과 "과정"과 "결과"를 "어떻게 잘 기록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구성원간에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각 단계별로 어떤 문서의 형태가 존재하는지 확인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업무 구성도, 시스템 구성도,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도, 애플리케이션 구성도(클래스 다이어그램, API정의서, 화면 설계서), 데이터 구성도(ERD) 등
스위스 한 기관이 "프로젝트 팀의 업무 시간은 어떻게 쓰일까?"라는 주제로 연구를 했습니다.
결과는 프로젝트 팀은 업무 파악에 27%, 고객 요구사항 분석에 24%, 설계에 18%, 구현 18%, 테스트에 13% 쓴다고 합니다. 그리고 전체 업무의 33%는 재작업에 쓴다고 하네요...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971/
SI 프로젝트의 문서는 왜 만들까? | 요즘IT
AI의 시대, 하지만 SI는 갈 길이 멉니다. 옛날에 비해 많이 변하긴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그대로죠. 특히 산출물만큼은 옛스러움을 답습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일을 맡긴다는 특성상 어쩔
yozm.wishket.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