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본 경험상 Oracle은 트랜젝션 관리 및 안정성이 MySQL 보다 좋다는 느낌을 받았지만, 대규모 프로젝트가 아닌 이상, Oracle의 사용은 오버 스팩으로 느껴졌습니다. 비용적인 문제도 있고.....
실제 중소규모의 프로젝트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MySQL이 개발속도, 가벼운 사용성 측면에서 지금 진행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 부합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MySQL은 DBever를 통해 관리할 예정입니다.
이제 ERD를 설계해야 되는데... 처음부터 모든 테이블을 설계하려 하지 않았습니다. DB를 다루고 싶어하는 다른 팀원들도 있기에 기본적인 뼈대만 잡아가고 다른 팀원들도 Table을 생성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물론 협업에서 그러면 절대 안되겠지만, 지금은 모두의 성장과 경험이 더 중요하기에~!^^
기본적인 회원 테이블, 결제 테이블, 게시판 테이블을 구성하였고, FK를 통한 관계 설정을 통해 정규화가 최대한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 이번에 ERD를 설계하면서 처음으로 열거형 타입인 ENUM(이놈ㅋ)을 사용했는데, 표면적으로는 문자열로 보이지만 내부적으로 1,2,3과 같은 정수형으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저장공간도 절약할 수도 있고, 기존 대비 빠른 인덱싱 성능을 얻을 수 있어 "왜 이제 알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728x90
'Project > SmartFarm: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10일차 : Spring Security (feat. JWT) (0) | 2025.02.21 |
---|---|
[개발일지] 프로젝트 9일차 : Spring Security 로그인 인증 (0) | 2025.02.19 |
[개발일지] 프로젝트 8일차 : Spring Security (feat. MyBatis) (1) | 2025.02.18 |
[개발일지] 프로젝트 4~6일차 : 프로젝트 (0) | 2025.02.18 |
[개발일지] 프로젝트 1~3일차 : 프로젝트 기획 & 페이지 설계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