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18 [네트워크] 보안 관련 용어 및 개념 네트워크 유형 분류구분내용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모든 노드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조로, 데이터가 여러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어 안전성이 높습니다.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Peer-to-Peer Network)중앙 서버 없이 각 컴퓨터(피어)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자원을 공유하는 네트워크 입니다. 모든 노드가 클라이언트와 서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가상 사설 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공용 네트워크(인터넷)를 통해 암호화된 연결을 생성하여 마치 사설 네트워크처럼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는 기술 입니다.애드훅 네트워크(Ad-hoc Network)고정된 인프라 없이 필요에 따라 임시로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로, 노드들이 자율적으로 네트워크를 .. 2025. 4. 19. [CS] 운영체제 자원 관리 알고리즘 1.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운영체제의 가상 메모리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메모리가 가득 찼을 때 어떤 페이지를 교체할지 결정하는 알고리즘으로, 페이지 폴트(Page Fault)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구분FIFOLRULIFO설명가장 먼저 들어온 데이터를 가장 먼저 제거가장 오래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를 제거가장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를 가장 먼저 제거기본원리큐(Queue) 구조 기반최근 사용 시간 추적스택(Stack) 구조 기반교체 우선순위가장 오래된 항목가장 오랫동안 접근되지 않은 항목가장 최근에 추가된 항목장점구현이 단순효율적 캐시 관리구현이 단순단점최근 자주 사용하는 항목이 제거될 수 있음구현 복잡도와 자원 소모 증가성능 효율이 떨어질 수 있음캐시 효율성보통높음낮음 .. 2025. 4. 18. [자료구조] 그래프 (Graph, 단계별 구현을 통한 이해) 그래프는 노드과 간선으로 이루어진 비선형 데이터 구조 입니다. 보통 그래프는 데이터간의 관계를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데이터를 노드로, 노드 간의 관계나 흐름은 간선으로 표현합니다. 만약 관계나 흐름의 정도를 표현할 필요가 있다면 가중치라는 개념을 추가하여 표현합니다.노드(Vertex, Node) : 그래프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요소(노드)간선(Edge) : 노드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냄 그래프의 특징그래프는 트리 구조에 방향성, 가중치, 순환과 같은 속성이 추가된 자료구조로 볼 수 있습니다.구분내용흐름을 표현하는 방향성간선은 방향을 가질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방향이 있는 간선을 포함하면 방향 그래프, 방향이 없는 간선을 포함하면 무방향 그래프라고 합니다.흐름의 정도를 표현하는 가중치데이터는.. 2025. 3. 19. [자료구조] 유니온-파인드 (Union & Find) 유니온-파인드(Union-Find) 자료구조는 서로소 집합(Disjoint Set) 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자료구조입니다. 여러 개의 원소가 있을 때, 원소가 어떤 집합에 속해 있는지를 빠르게 찾고, 두 집합을 하나로 합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유니온-파인드가 필요한 이유유니온-파인드는 그래프 알고리즘에서 연결된 요소(Connected Components) 를 찾을 때 많이 사용됩니다. 즉, 네트워크에서 두 컴퓨터가 같은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를 판단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Kruskal 알고리즘(최소 신장 트리, MST) 을 구현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유니온-파인드 동작 과정경로 압축, 랭크 기반 합치기 기법 등 실제로 구현해보는게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동작할.. 2025. 3. 18. [네트워크] 4. 네트워크 프로토콜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 정리 1. 네트워크 계층구분상세L2 스위치과거 리피터는 모든 포트에 데이터를 보내고 일치하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받는 방식으로 동작했었는데, L2 스위치는 목적지의 MAC 주소를 기억하므로 해당 포트에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어 효율적으로 통신이 가능합니다.L3 스위치L2 스위치에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기능은 라우터와 비슷하지만 라우터는 광 회선을 포함한 다양한 회선을 수용할 수 있고, 보안 기능이 더 좋습니다.L4 스위치로드 밸런서라고도 하며, 시스템에 대한 요청을 여러 서버에 분산해서 통신량의 균형을 조절하는 기술 입니다. TCP 헤더 등 프로토콜 헤더의 내용을 해석하고 지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분산해서 전송합니다.L7 스위치L4 스위치에 더해 .. 2025. 3. 14. [자료구조] 트리 (Tree) 트리(Tree)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탐색하기 유용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계층 구조를 표현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는데, 루트 노드(root node)를 기준으로 가지처럼 뻗어 나가는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참고로 간선이란, 노드와 노드 사이를 이어주는 선을 의미하고, 특정 노드에서 아래로 향하는 간선의 개수를 통해 차수를 정의합니다. 즉, 노드 간의 간선이 몇개인지에 따라 차수가 정해집니다.차수가 2개인 이진 트리를 배열로 표현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은데, 루트 노드는 배열 인덱스 1번에 저장합니다.왼쪽 자식 노드의 인덱스는 [부모 노드의 배열 인덱스 * 2] 입니다.오른쪽 자식 노드의 인덱스는 [부모 노드의 배열 인덱스 * 2 + 1] 입니다. 그렇다면 이진 트리를 탐색할 때.. 2025. 3. 14. [네트워크] 3. IP 주소 구조 컴퓨터가 출하되었을 때는 MAC 주소만 있고, IP 주소는 없습니다. 컴퓨터를 라우터에 연결해야 비로소 라우터에서 IP주소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이렇게 라우터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 받는 기술을 "DHCP"라고 합니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4단계를 거쳐 네트워크 설정을 가져옵니다.구분요약상세DHCP Discover찾아보기클라이언트가 "나한테 IP 주소를 줄 수 있는 DHCP 서버 어디 없나요?"라고 물어보는 과정으로 이를 위해 브로드캐스트(모든 장치에 보내는 방식)로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뿌려서 서버를 찾음.DHCP Offer제안하기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듣고 "나는 IP 주소를 줄 수 있어! 너한테 이런 IP 주소를 할당.. 2025. 3. 13. [자료구조] 해시 (Hash) 해시란?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탐색할 때,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탐색하는 것은 비효율적 입니다. 그렇다면 위치를 탐색할 필요 없이 바로 데이터를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럴 때 사용하는 자료구조가 "해시"입니다.해시는 해시 함수를 사용해서 변환한 값을 인덱스로 삼아 키와 값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이 키를 활용해서 데이터 탐색을 빠르게 합니다. 우리 일상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엑셀의 Default로 명시된 행번호가 바로 인덱스이고 값의 위치 정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시 충돌 문제해시 함수가 변환한 값이 충돌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윤아", "유리"라는 서로 다른 두 키에 대해 해싱 함수를 적용한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해시를 구현할 때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합.. 2025. 3. 13. 이전 1 2 3 다음 728x90